1. 스타트 모터란 :
- 자동차 부품 중 시동에 연결되어 있으며, 엔진을 가동하는 역할이 가장 중요한 부품입니다. 주로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사용되며, 엔진을 기동할 때 필요한 초기 회전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초기 회전력은 엔진이
작동하기 시작할 때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고, 이어서 연료와 공기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기동하여 엔진을 가동합니다.
스타트 모터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스마트 키나 버튼을 누를 떄 작동합니다. 이러한 장치를 작동시키면 스타트 모터가
엔진을 회전시키고, 엔진이 가동될 때까지 회전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일단 엔진이 가동되면 스타트 모터는 작동을
중지하고 전기 시스템이 다른 작동 모드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2. 스타트 모터의 불량원인 :
- 불량원인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을 나열했습니다.
▶ 마그네틱 불량: 내부의 회전 자와 솔레노이드 등의 부품이 손상되거나 마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품의 손상은
스타트 모터의 성능을 저하하거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습니다.
▶ 배터리 불량 : 배터리의 전압이 약해지거나 방전되었을 떄, 스타트 모터가 충분한 전기력을 받질 못하여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 스타트 릴레이 불량 : 스타터 릴레이는 스타트 모터를 활성화시키는데 사용되며, 릴레이의 고장으로 스타트 모터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내부 동작 문제 : 내부 동작의 플라이휠이 손상될 경우 스타트 모터가 작동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고열 및 냉각 : 높은 열에 민감할 수 있으며, 고열로 인해 오실 또는 내부 부품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겨울에는 엔진 오일이 더 빨리 얼어 스타트 모터의 부하를 늘릴 수 있어 성능을 저하할 수 있습니다.
▶ 손상된 일부 구성품 : 스타트 모터 내부의 회전 자와 솔레노이드 등의 부품이 손상되거나 마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품의 손상은 스타트 모터의 성능을 저하하거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습니다.
3. 스타트 모터의 고장 증상 :
▶ 시동이 걸리지 않음 :
스타트 모터의 심각한 고장일 경우, 시동이 걸리지 않을 수 있습니다. 스마트키를 누려고 아무런 반응이 없거나, 엔진이 전혀 가동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가끔만 시동이 걸림 :
스타트 모터의 고장이 불규칙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가끔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다른 때는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전기 시스템의 문제 :
스타트 모터의 불량은 전기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배터리 방전이나 전기 시스템의 다른 문제와 문제가 될 수 있다.
▶ 엔진 회전 속도가 느림 :
스타트 모터의 불량으로 인해 엔진을 가동할 떄 회전속도가 현저히 느려집니다. 이에 따라 시동 걸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4. 스타트 모터 교체 절차 :
▶ 배터리 연결 해제 및 차량 리프트 업 : 작업을 하기 전에 다른 부품의 손상을 막기 위해 배터리 단자를 해제하는 게 좋다.
그래야 스파크 및 정전으로 인한 전자부품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 스타트 모터 식별 : 스타트 모터는 차량 하부에 위치되고 있다. 차량을 올리고 하단에 있는 부품 중에 작업공간이 안 나오면 DPF를 탈거해 주셔도 된다
▶ 모터 연결 해제 : 스타트 모터에 연결된 전기선을 분리한다. 볼트를 풀어 연결을 해제하면 된다
▶ 스타트 모터 고정 볼트나 나사 제거 : 스타트 모터를 차량 내부에 고정하는 볼트 나 고정 나사를 제거하여 교체를 할수 있도록 준비를 해 준다.
▶ 기존 스타트 모터 제거
▶ 새 스타트 모터 고정 : 순정부품, 제제도 부품, 일반 부품으로 나누어 지지만 가격이 합리적인 부품으로 교체하면 된다.
▶ 연결 및 전기선 연결
▶ 배터리 연결 복구
▶ 시험 가동
▶ 작동 확인 및 주행
5. 스타트 모터 개선 :
▶정기적인 수리 및 정기 검진 : 스타트 모터는 사용 중에 마모될 수 있으며 먼지나 오염물질로 인해 작동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유지 보수를 통해 스타트 모터의 내부를 청소하고 윤활유를 교체하여야지만 성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전원 확인 : 자동차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습니다. 배터리의 전압이 약해지면 스타트 모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상태를 점검하고 한번 방전이 되었으며 교체를 하는게 좋다
▶ 스타트 모터 교체 : 고장이나 손상되었을 경우, 교체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신규 제품으로 설치하여 정상적인 성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행 습관 개선 : 가동 직전에 다른 전기 부하를 줄이는 습관이 필요하다. 순간적인 부하를 줄여주는 게 좋다.
▶ 전기 연결 : 스타트 모터와 배터리 간의 전기 연결 및 전선이 올바르게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전선은 탈선 및 손상된 전선은 스타트 모터의 성능을 저하한다.
'자동차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지턱 넘을때 따그락소리는??? 파워스트링기어를 알아보자 (0) | 2023.10.24 |
---|---|
배기가스를 잡아볼까? 엔진이여...EGR밸브를 (0) | 2023.10.20 |
엔진을 보호하자!!! 연료필터는??? (0) | 2023.10.16 |
자동차 부품의 ABS모듈이란? (0) | 2023.10.12 |
자동차 내장형 부품인 발전기 (0) | 2023.09.17 |